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의] 지하철에서 어깨 부딪힌 후 시비 건다면? 이건 범죄입니다

by HEE❤️ 2025. 5. 3.
반응형




지하철·길거리 어깨치기 범죄, 무심코 지나칠 수 없는 이유


1. 어깨치기, 단순한 실수가 아니다?

지하철이나 붐비는 길거리에서 낯선 사람과 어깨를 부딪친 적이 있으신가요? 대부분은 단순한 실수로 넘기지만, 최근엔 일부 의도적인 ‘어깨치기’가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들은 단순한 접촉이 아닌, 분노 유발, 보복 폭행, 협박, 그리고 금전 갈취로까지 이어지는 범죄 행위로 발전시키기도 합니다. 특히 피해자 입장에서는 갑작스러운 충돌과 언어폭력, 위협에 심각한 정신적 충격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2. 어깨치기 범죄란?

어깨치기 범죄란 의도적으로 타인의 어깨를 부딪친 후 시비를 걸거나 이를 빌미로 폭언, 폭행, 협박 또는 금전 요구까지 하는 범죄 행위를 뜻합니다.

특히 인파가 몰리는 지하철, 버스 정류장, 상가 거리, 횡단보도 인근에서 자주 발생하며, 혼자 이동하는 여성이나 노약자를 주 타깃으로 삼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어깨치기의 주요 수법

① 고의적 접촉 → 시비 유도

붐비는 지하철 안이나 환승 통로에서 어깨를 부딪힌 후 “어디다 부딪치냐”, “사과 안 하냐” 등으로 강하게 반응

피해자가 당황하거나 무시하면 더 큰 목소리로 위협


② 반응 살피기 → 약자 노리기

상대방이 위축되거나 말이 없을 경우, 이를 기회로 삼아 언어폭력 혹은 신체 폭행 시도

CCTV 사각지대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음


③ 금전 요구 or 유도 폭행

일부는 접촉 후 옷이 찢어졌다는 등 이유로 현금 배상 요구

또는 일부러 분노를 유발해 상대방이 반격하게 한 후 되레 피해자인 척 신고


4. 어깨치기 범죄의 심리적 배경

분노 조절 장애: 작은 접촉에도 과민 반응을 보이는 사례 존재

우월감/지배욕: 약자에게 시비를 걸고 위협함으로써 심리적 우위를 확보

보복 심리: 사회적 불만이나 열등감을 무고한 타인에게 표출

금전 목적: 고의 접촉 후 피해자를 협박해 돈을 뜯어내려는 수법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이후, 대중교통 이용 인구가 늘며 관련 사건도 함께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5. 피해자들의 고통

어깨치기 범죄는 단순히 육체적 접촉에만 그치지 않습니다.
많은 피해자들이 다음과 같은 정신적 충격과 일상생활 위축을 호소합니다.

대중교통 회피, 외출 불안

지나치게 예민해진 대인 관계

분노와 공포 혼재된 감정

폭언과 위협으로 인한 트라우마


더 심각한 문제는, 피해자들이 단순 시비로 치부되거나, 증거 부족으로 처벌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점입니다.


6. 실제 사례

사례 ①: 지하철 역사 내 20대 여성 피해

2024년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에서, 20대 여성이 어깨를 부딪힌 후 40대 남성에게 “눈 똑바로 못 보냐”는 욕설을 들음. 무시하고 가려하자 따라붙으며 욕설과 휴대폰으로 위협. 신고 후 경범죄처벌법으로 입건.

사례 ②: 어깨치기 유도 후 합의금 요구

한 남성이 반복적으로 지하철 혼잡 시간대에 노약자나 여성과 어깨를 고의로 부딪힌 뒤, 소란을 피우며 합의금을 요구한 사례가 적발됨. 경찰 조사에서 수차례 유사 행위를 반복한 것으로 드러남.


7. 법적 처벌 및 대응 방안


관련 법령

폭행죄: 2년 이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 벌금 (형법 제260조)

협박죄: 3년 이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 벌금 (형법 제283조)

공갈죄: 폭행·협박으로 금품 갈취 시 10년 이하 징역 (형법 제350조)

모욕죄: 모욕성 발언 시 1년 이하 징역 또는 200만원 이하 벌금


피해자가 해야 할 일

1. 증거 확보: 휴대폰 녹음, 주변 CCTV 위치 확인


2. 즉시 신고: 112 신고 및 현장 경찰 도움 요청


3. 목격자 확보: 주변에 있던 시민들의 진술 요청


4. 지하철 경찰대·철도경찰 활용: 역사 내 전담 부서 존재


8. 예방 수칙

이어폰 착용 줄이기: 주변 소리를 듣고 빠르게 반응하기 위해

CCTV 있는 구역 이용: 지하철 내 칸 중앙, 역사 내 승강장 중간 등

시비 유도에 침착하게 대응: 큰소리 내지 말고 즉시 신고

근처 도움 요청: 지하철 보안요원, 역사 직원에게 즉시 알리기


9. 사회적 대응과 인식 변화 필요

어깨치기는 단순한 ‘시비’가 아닌 폭력 범죄로 인식돼야 하며, 사회 전반적인 경각심이 필요합니다.

경찰 및 지자체의 지속적인 CCTV 설치 확대

대중교통 내 안전 캠페인 강화

시민 대상 폭력 대응 교육 필요


또한, 피해자가 죄책감이나 수치심을 느끼지 않고 적극적으로 신고할 수 있도록,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중요합니다.


10. 마무리하며

우연한 접촉인지, 고의적인 폭력인지 구분하기 어렵다고 해서 그저 넘겨서는 안 됩니다.
지하철 어깨치기 범죄는 명백한 위법 행위이며, 피해자는 보호받아야 합니다.
스스로 조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회 전체가 경각심을 갖고 대처해야 할 문제입니다.

불쾌한 접촉을 당했다면 침묵하지 마세요. 증거를 확보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또 다른 피해를 막는 길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